선농게시판

선농게시판

2018.11.03 18:10

하루만에 시 쓰기l

조회 수 5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루 만에 배우는 시 쓰는 방법

시는 사상과 자연을 담은 천작 그릇

 

1. 시란 무엇인가?

 

공자(孔子)는 시를 사무사(思無邪), 즉 생각에 사투함이 없는 것이라 한다,

아리스도텔레스(Atistoteles)는 “시란 운율적 언어에 의한 모방 즉 사물의 형상을 운율적 언어에 담는 것”으로 해석했다.

오늘날 시인들에게 “시란 무엇인가?”의 정의를 묻는다면 수만 가지로 대답할 것이다. 시 정의에 대한 정답은 없어 보인다.

시는 쓰는 시대와 시인의 사고에 따라 천양지차를 보인다.

 

그럼에도 시를 쓰는 이유는

각자의 체험을 시란 그릇에 담아내는 천작(天作)인 것이다.

 

사전적으로 보면

시는 문학의 한 장르. 자연이나 인생에 대하여 일어나는 감흥과 사상 따위를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한 글이다.

형식에 따라 정형시·자유시·산문시로 나누며, 내용에 따라 서정시·서사시·극시로 나눈다.

 

 

2. 시를 잘 쓰기 위한 비법

 

작가 한승원의 [나 혼자만의 시 쓰기 비법]의 의하면

 

첫 번째 비법: 먼저 시인의 마음을 만들어라

 

“좋은 시를 쓰려면 시인으로서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스님들이 도를 닦듯이 수양을 해야 한다. 그것은 시인답게 마음을 비우고 살기이고, 어린 아이처럼 우주의 제 현상과 그 내면의 뜻을 발견하고 그것을 놀라워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시인의 마음이 닮고 갖춘다면 이미 반 이상은 시인이 된 것이다. 왜냐하면 시인의 마음을 가진 사람은 그 마음으로 살아가는 모양새를 읊으면 그것이 그대로 시가 되기 때문이다.

 

두 번째 비법: 어떤 시가 좋은 시인가를 읽고 암송하는 공부하라.

 

시인이 되려는 사람이 일차적으로 가져야 할 필수적인 덕목으로, 시를 아름답게 치장하는 수사법을 공부하는 것은 그 다음의 일이다.

 

세 번째 비법: 좋은 시를 쓰는 시인들은 그들만의 시 쓰기 비법이 있다.

 

그들의 비법을 터득한 후 자신만의 시 쓰기 비법을 만들어야 한다.

 

 

3. 시 쓰는 실제

 

시의 출발은 사춘기의 감정이다.

누구나 쓸 수 있지만 머뭇거리기 때문에 시가 어렵다고 한다.

시란 절제된 언어이다.

 

한승원은 “시를 쓰고 차를 마시면서, 거울처럼 맑게 가라앉힌 마음에 비친 향기로운 생각, 나무와 꽃과 내 마음에 쏟아지는 하늘의 공평한 마음, 산소 같은 생각만 남기고 다른 것들을 잘라 없앤다.”고 압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일상의 사건에서 시적 소재를 발굴한다.

-시적언어를 찾아낸다.

-주제, 소재, 비유법에 대한 공부를 한다.

-자기감정을 들여다본다.

-시인들의 시를 읽고 그들을 모방해서 시를 쓰는 과정을 거친다.

 

시는 성격상 각자의 다양한 체험과 성질을 담아내는 체험의 그릇이기에 자기 형상으로 내부를 그려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 전제 조건이 바로 올곧고 바르게 사는 삶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모두가 아름다운 시인의 마음을 갖기를 기원하며 지금 당장 시를 써보자!

우리가 제일 좋아하는 대표 시 두 편을 소개한다.

 

 

진달래꽃

 

김소월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라 가실 길에 드리오리다.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무지개

윌리엄 워즈워드

 

무지개를 하늘에 바라 볼 때면

나의 가슴 설렌다.

내 생애가 시작될 때 그러하였고

나 어른이 된 지금도 이러하거니

나 늙어진 뒤에도 제발 그래라

그렇지 않다면 나는 죽으니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여라

바라기는 내 목숨의 하루하루여

천성의 자비로써 맺어 지거라.


  1.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이야기

    Date2024.03.10 By캘빈쿠 Views23
    Read More
  2. 천체물리학과 우리 매일의 삶

    Date2024.03.10 By캘빈쿠 Views23
    Read More
  3. 사대 부중고 시절을 회고 함

    Date2024.03.07 By권영환 Views51
    Read More
  4. 조선족과 만주족, 그리고 동북 3성

    Date2024.02.18 By캘빈쿠 Views47
    Read More
  5. 북간도와 두만강유역의 중요성

    Date2024.02.18 By캘빈쿠 Views34
    Read More
  6. 사대부고 총동문 그룹사운드 Guitar,Piano,Vocal을 모집합니다.

    Date2024.01.16 By김현수 Views129
    Read More
  7. 2024년 송구영신...

    Date2023.12.31 By이용분 Views94
    Read More
  8. 미국의 김치의 날

    Date2023.12.18 By이용분 Views78
    Read More
  9. ♡ 아 리 랑(我理朗) ♡ {아리랑; 世界에서 가장 아름다운곡 1位에 選定됐음}

    Date2023.12.17 By이용분 Views60
    Read More
  10. 백제 유민들은 어디로 갔을까?

    Date2023.12.11 By캘빈쿠 Views74
    Read More
  11. 몽골의 농업 현황

    Date2023.12.11 By캘빈쿠 Views64
    Read More
  12. 한국인들이 몽골에서 하는 일

    Date2023.12.11 By캘빈쿠 Views59
    Read More
  13. 행복함과 우울함

    Date2023.12.11 By캘빈쿠 Views46
    Read More
  14. 늙는다는 게 얼마나 서글픈가!

    Date2023.12.09 By이용분 Views72
    Read More
  15. 靑春이란 人生의 어느 期間을 말하는 것이아니라...

    Date2023.12.03 By이용분 Views74
    Read More
  16. 첫 눈

    Date2023.11.30 By이용분 Views83
    Read More
  17. 어느 모란 장날

    Date2023.11.20 By이용분 Views69
    Read More
  18. 총동뮨밴드 홍대공연을 안내합니다.

    Date2023.10.09 By김현수 Views137
    Read More
  19. 시)가을과 맨드라미꽃

    Date2023.10.08 By이용분 Views86
    Read More
  20. 시)깊어만 가는 가을 날.

    Date2023.10.02 By이용분 Views10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5 Next
/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