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png

조회 수 7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연이 빚은 풍경화' 단양팔경 사인암



어딘가에 이름을 새긴다는 것은 그만큼 그 장소를 기억하고 싶은 욕망 때문이 아닐까. 
휴대전화만 꺼내 들면 자신의 모습을 바로 담을 수 있는 요즘에는 이 같은 행위가 낙서로 치부될 수 있다. 
하지만 수백년 전 우리 선조에게 이는 자신의 흔적을 남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었다. 
더구나 그곳이 강직함과 지조 등 선비정신과 부합하는 곳이라면
 흔적을 남기고픈 유혹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을 것이다.



 단양팔경 -. 새삼 말이 필요 없는 관광지 중 하나다. 
그중 5경인 사인암(舍人巖)은 단양팔경의 다른 곳과 달리 독특한 매력을 품고 있다. 
다른 곳이 풍경 자체로 관광객들의 탄성을 자아내는 곳이라면
 사인암은 풍경에 선조의 흔적이 덧칠해져 그 무게감을 더한다.

중앙고속도로 단양나들목에서 10분 정도면 도착하는
 사인암은 바로 앞까지 차로 이동이 가능하다. 
접근성이 좋다 보니 자칫 그 외관만 보고 감탄한 채 지나칠 수 있다.

하늘을 향해 쭉 뻗은 기암절벽에 옥빛과 황금빛 등으로 채색한 듯한 독특한 색채,
 일부러 쌓아올린 듯한 모습을 연상케 하는 격자무늬,
 거기에 암벽 정상 위 우뚝 솟은 소나무들까지. 
외관만으로도 보는 이의 가슴을 한바탕 뒤흔들어 놓고 깊은 여운을 남길 정도다.


충북 단양 사인암(舍人巖)은 추사 김정희가 하늘에서 내려온 한 폭의 그림 같다고 표현할 정도로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더구나 이곳을 찾은 선조들이 우뚝 솟은 사인암에 매료돼 음각으로 이름과 시구 등을 새겨놔 과거 선비들이 남긴 다양한 서체도 볼 수 있다.

추사 김정희는 이런 사인암을 두고 하늘에서 내려온 한 폭의 그림 같다고 했다. 단원 김홍도는 사인암을 보고 그 모습을 바로 그리지 못하고 1년여가 지난 후에나 그림을 완성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걸로 사인암을 봤다고 하기엔 부족하다. 멀리서는 그 경치에 반하지만, 가까이 다가서면 오목새김 된 다양한 서체에 빠져들게 된다. 사인암에 음각된 선조의 이름만 해도 270여명에 이른다. 사인암이 ‘서체 박물관’이라 일컬어지는 이유다.

사인암을 찾은 옛 선비들이 돌에 남긴 이름들.

옛 선비들이 사인암 벽 여기저기에 새긴 이름과 시구 등을 보며 어떤 글자고 의미인지를 유추해보면 좋겠지만 사실 쉽지는 않다. 한자라는 이유도 있지만, 알아보기 힘든 서체로 쓰인 글자도 있다. 이럴 땐 인터넷 검색으로 쓰인 글귀 등을 미리 알아두고 가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아는 만큼 보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왜 사인암에 이름을 남겼을까. 기실 올곧고 강직한 선비의 표상을 그대로 빼닮은 사인암의 외관에 매료됐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더해 사인암이란 명칭이 주는 무게를 빠뜨릴 수 없다. 사인암은 단양 출신 고려 말 학자 우탁(禹倬)이 정4품 ‘사인(舍人)’ 벼슬에 있을 때 즐겨 찾은 곳이어서, 조선 성종 때 단양군수를 지낸 임제광이 이를 기려 사인암이라 불렀다. 우탁이 지낸 벼슬명에서 따온 이름인 것이다. 우탁은 높은 기개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고려 충선왕이 즉위 후 아버지 충렬왕의 후궁을 범하자 도끼를 들고 임금에게 직언하는 지부상소를 올린 인물이다. “내 말이 잘못됐을 땐 이 도끼로 목을 쳐도 좋다”는 의미로 목숨을 내놓고 상소를 올릴 정도로 기개가 높았다. 이렇듯 우탁의 생애는 선비정신의 표본이라 할 수 있어 후대에 이를 잇겠다는 의지 표현으로 사인암의 곧음과 기개를 기리는 시구들을 벽에 새겨 남겼던 것이다.

卓爾弗群 確乎不拔(탁이불군 확호불발) “뛰어난 것은 무리에 비할 바 아니며, 확실하고 단단해서 꿈쩍도 않는다.” (조선 영조 때 단양군수 조정세) 獨立不懼 遯世無憫(독립불구 둔세무민) “홀로 서니 두려운 것이 없고, 세상을 등지니 근심이 없다.”(조선후기 문인 이윤영)

사인암을 찾은 옛 선비들이 장기를 두기 위해 평평한 돌에 장기판을 새겨놨다.

사인암 주변을 둘러보면 장기판과 바둑판이 새겨진 바위를 볼 수 있다. 계곡과 멋진 풍광을 자랑하는 사인암을 끼고 장기 바둑을 즐겼다면 이보다 더한 신선놀음이 어디 있을까 싶다. 다만 아쉬운 것은 누군가 바둑판을 떼가기 위해 바위를 자른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점이다.

사인암을 찾은 옛 선비들이 바둑을 두기 위해 평평한 돌에 바둑판을 새겨놨다.

사인암 옆에는 청련암이란 절이 있는데 이 절을 따라 들어가면 사인암 뒤편으로 갈 수 있다. 뒤편엔 삼성각에 오를 수 있는 계단이 있는데, 그 앞에 우탁이 지은 ‘탄로가(嘆老歌)’를 새긴 비석이 관광객들을 맞이한다. 늙음을 한탄한 탄로가는 전해 오는 가장 오래된 시조로 알려져 있다.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5 봄을 제대로 느끼는 '힐링 트레킹 코스' 이기승 2016.03.24 490
354 함포마을은 상큼한 미나리 수확 한창.. '매화향' 봄을 깨우다. 이기승 2016.03.23 627
353 봄 향기가 스며든 3월의 산으로 떠나자 이기승 2016.03.22 886
352 봄바람 난 동백꽃 '화려한 유혹' 이기승 2016.03.21 830
351 아리랑의 참뜻 이기승 2016.03.20 562
350 常識이 된 外來 新用語 익히기 이기승 2016.03.19 615
349 벚꽃·동백·산수유길..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이기승 2016.03.18 812
348 하얀 매화 향에 취하고, 노란 산수유 품에 안기고 이기승 2016.03.17 625
347 느티나무 4월 산행안내(2016,4,3) 이기승 2016.03.16 311
346 철새 떠난 곳 봄향기 채우다..서천 해지게길 이기승 2016.03.16 663
345 북한강 철교, 이렇게 아름다울 줄이야 이기승 2016.03.15 788
344 봄의 전령사 '매화'와 봄의 절정 '벚꽃'이 함께하는 기차여행 이기승 2016.03.14 688
343 家訓 이기승 2016.03.13 305
342 나의 노계(老計) 이기승 2016.03.12 391
341 서울 캠핑장, 봄 손님맞이..10일부터 예약 가능 이기승 2016.03.11 680
340 '최고의 행복감' 주는 옛 절터를 찾아 떠나는 봄 여행 이기승 2016.03.10 808
339 마의태자·영혼결혼 깃든..절터에서 생각에 잠기다 이기승 2016.03.09 762
338 그냥 걸었는데 신선이 되었네.. 월악산국립공원 제비봉 트레킹 이기승 2016.03.08 795
337 한반도가 발아래 펼쳐지네 이기승 2016.03.07 664
336 나의 죽음을 세상에 알리지 마라 이기승 2016.03.06 498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76 Next
/ 76

서울사대부고 동창회

ADDR. 우)04600 서울시 중구 다산로 43(신당동 366-340)

TEL. 02-588-7871

FAX. 02-588-7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