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동문소식

조회 수 620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原電 운전제한 입법 再考해야





  페이스북트위터구글
























함철훈/한양대 대학원 특임교수

대형 참사, 흉악범죄 및 산업 규제 등 온갖 문제가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기 바쁘게 이들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면 각종 입법안이 줄을 잇는다. 광복 이후 우리나라 입법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실과 유리된 졸속 입법이 무수히 이뤄졌고, 그 결과 사문화된 법령이 양산됐다. 이러한 상황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그것은 이미 ‘만들어진 법’에 대한 깊은 통찰 없이 생색내기용 ‘만들고자 하는 법’을 마구 쏟아내려 하기 때문이다.

최근 원전(原電)의 안전 문제를 빌미로 그 운전 기간을 40년에 한정하려는 의원입법안이 발의되고 있다. 이 같은 법안이야말로 우리의 현실과 유리될 가능성이 커 또 하나의 졸속 입법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비교적 측면에서 1979년 스리마일(TMI) 원전 사고를 경험한 미국이나,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의 경우도 원전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및 안전 규제의 강화 조치는 지속적으로 추진돼 왔지만, 원전의 운전 기간을 오직 40년에 한정하려는 입법은 양국의 의회나 행정부가 시도한 바 없다.

원전의 계속 운전과 관련, 미국의 원자력법은 원전의 운영허가 유효기간을 40년으로 하되 허가의 갱신이 가능한 규정을 두고 있다. 갱신 허가의 유효기간은 20년 이하이며, 원전의 운영으로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갱신 횟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미국이 당초 원전의 운영허가 기간을 40년으로 한정한 것은 원전의 안전성과 기술적 한계를 근거로 한 것이 아니라, 미국의 ‘독점금지법’에 따른 경쟁 요인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투자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운영허가 기간이 최소 60년이 필요하다는 전기사업자들과 운영허가 기간을 20년으로 한정하려는 미 법무부의 의견 충돌로 전기사업자들이 원전 사업에서 철수하려 하자 미 의회(상·하원)가 중재에 나서 이뤄진 타협안이 바로 ‘40년 운영허가+ 20년 허가갱신’ 제도다. 즉, 원전의 계속운전 여부에 대한 실질적 판단은 경제적 측면에서 전기사업자들이 결정하되,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기술적 판단을 근거로 계속운전에 대한 허가 여부는 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 위임한다는 것이 미국 원자력법의 기본 정신이다. 이와 같이 미국은 원전의 계속운전에 관해 원전 사업의 법적 구동장치와 제동장치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원자력안전법’의 기본 정신도 미국과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원전의 안전성에 관해 문제가 있으면 40년이 아니라 그 전 단계에서도 원전의 운전을 제한하는 조치가 가능하다.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원자력 분야는 의원입법보다 행정입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원자력 안전 규제 당국은 원전의 계속운전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조속한 결정을 내림으로써 소모적 논쟁에 매듭을 짓고 불필요한 입법 추진을 재고(再考)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지난날을 되돌아보면 원자력을 둘러싸고 발생한 사회적 관심사의 경우 그것이 가지는 실체적 진실과 일반 대중의 인식 사이에는 늘 크고 작은 간격이 있었다. 이 간격은 그냥 빈칸으로 남은 게 아니라, 어떤 선입견이나 잡다한 풍문 등 믿을 수 없는 것들로 채워지고 이들은 다시 어안렌즈가 돼 원자력의 진면목을 상당 부분 왜곡시켜 온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및 한수원의 비리 등이 세상에 알려진 이후 최근 원자력에 대한 입법의 폭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법의 폭주 현상은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법으로 이만큼 대처했으니 우리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했다는 일종의 면책을 위한 자기 알리바이에 불과한 측면도 있다. 입법의 부재 현상도 문제지만, 무분별한 폭주 현상은 지극히 경계해야 할 일이다
  • 2014.08.05 00:00
    좋은 글 . 감사합니다.

  1. 김성한(31회) 중앙일보 csis 포럼

    Date2021.12.16 By사무처 Views68
    Read More
  2. 이광형(25회) 남들이 다하는 연구지양하고 최초를 지향하라

    Date2021.12.12 By사무처 Views72
    Read More
  3. 박현채(18회) 해양오명으로 급부상하는 대체 해산물

    Date2021.12.12 By사무처 Views42
    Read More
  4. 성공하고 싶다면 인맥과 네트워크를 쌓아라(김진혁 /27회)

    Date2021.12.12 By사무처 Views40
    Read More
  5. 박병철(36회) 올해 잘 했어요 그대 그리고 나

    Date2021.12.10 By사무처 Views47
    Read More
  6. 김기명(27회) 중미지역 거미줄 생산망 구축

    Date2021.12.08 By사무처 Views82
    Read More
  7. 최도성(22회) 한동대 총장 선임

    Date2021.12.07 By사무처 Views57
    Read More
  8. 차두원(41회) 과학기술 중심 국정운영시대

    Date2021.12.07 By사무처 Views66
    Read More
  9. 김옥찬(27회) 홈앤쇼핑, 지역 살리기 방방곳곡 1억 지원

    Date2021.12.05 By사무처 Views34
    Read More
  10. 이광형(25회) 90% 넘는 연구성공률이 문제, 카이스트 총자으이 일갈

    Date2021.12.05 By사무처 Views44
    Read More
  11. 권오용(26회) 파문은 일었어도 소통은 이어졌다.

    Date2021.12.05 By사무처 Views31
    Read More
  12. 당신이 코로나에 걸렸다면? 김진혁(27회)

    Date2021.12.05 By사무처 Views50
    Read More
  13. 15회 임돈희(민속학자) 학술원-EBS공동기획 출연

    Date2021.12.01 By정동진 Views153
    Read More
  14. 권오용(26회) 한국경제의 우울한 자화상과 대통령 선거

    Date2021.11.30 By사무처 Views35
    Read More
  15. 박현채(18회) 0%대 기준금리 시대의 종언

    Date2021.11.30 By사무처 Views37
    Read More
  16. 성공의 비결 그릿, 김진혁(27회)

    Date2021.11.30 By사무처 Views44
    Read More
  17. 정강현(18회) - "우리들의 아버지 운석 정하생" 발간소식

    Date2021.11.30 By사무처 Views113
    Read More
  18. 조동근(23회) ESG 경영 '투자펀드의 상업주의'와 '정치권의 국가개입 통로로의 전략'을 경계해야

    Date2021.11.26 By사무처 Views61
    Read More
  19. 김종훈(20회)- 한미글로벌, ESG평가 최고등급 ‘AA’ 획득… ESG경영 앞장선다

    Date2021.11.26 By사무처 Views38
    Read More
  20. 23회 문재숙교수_스타다큐 출연

    Date2021.11.26 By선농문화포럼 Views1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42 Next
/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