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png

조회 수 1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실록에 나타난 쐬주 이야기들



세종 15년 (1433)이었다.
그러니까 지금으로 부터 약 580 년전의 이야기가 돤다.
지금 이조판서 허조가 소주의 페해를 조목조목 세종께 아뢴다.

“예로부터 술 때문에 몸을 망치는 자가 많습니다.
 신이 벼슬에 오를 때는 소주를 보지 못했는데 지금은 집집마다 있습니다.
 게다가 소주 때문에 목숨을 잃는 이가 흔합니다. 금주령을 내려야 합니다.”
하지만 세종은 난색을 표한다.

“엄금 한다고 무슨 소용이겠느냐. 막지는 못할 것이다.(雖堅禁 不可之也)”
이조판서가,

“추상같은 금주령을 내리면 근절시킬 수 있다” 고 재차 고했다.
그러자 세종이 마지못해 한마디 덧붙인다.

“그러냐. 술을 금하기는 정말 어려운 일이다.
 하나, 정 그리해야 한다면 주고(酒誥·술을 경계하는 글)를 지어
 신하들에게 내려주지.”

역시 성군이시다. ‘쐬주 한 잔의 유혹’ 을 어느 누가 막는다는 말이더냐.
600 년 가까이 지난 지금에도 대한민국 성인 1 인당 마신 소주가
1년 평균 84 병에 이를 정도라니 말이다.  
실록의 소주 얘기를 하자니 말인데,

한국인을 대표하는 술인 소주는 원래 우리 것이 아니었다.
소주를 처음 만든 이들은 기원전 3000 년 메소포타미아 수메르인들이었다고 한다.
이 증류주는 지금도 아랍지역에서 ‘아라끄’ 라는 명칭으로 전승되고 있단다.
1258 년 몽골 정벌군이 압바스조를 공략할 때 이 술의 제조법을 배워갔다고 한다.



몽골군은 일본원정을 위해 고려의 개성과 안동, 제주도에 양조장을 만들었다.
원정군이 이곳에서 만든 소주를 가죽 술통에 넣어 휴대용으로 마신 것이다.
왜 지금까지 안동소주가 유명한지 이유를 알 것도 같다.
고려인들은 ‘물처럼 맑고. 맛은 매우 진하고 강렬한’(<본초강목(本草綱目)>)
 소주에 단번에 매혹됐다.

예컨대 1376 년 경상도원수 겸 도체찰사인 김진은 
부하 장수들과 함께 기생들을 모아 밤낮으로 소주를 마셔댔다.
오죽했으면 장병들이 소주에 빠진 김진 일당을
 ‘소주도(燒酒徒·소주의 무리)’ 라 하며 손가락질 했을까.
이듬해 왜구가 침입해서 합포영(창원지역)을 불사르고 유린했다.
하지만 김진의 군사들은 콧방귀를 뀌면서 꼼짝도 하지 않았다.
 “저희가 뭐하러 갑니까.
 저들 소주도라부른 인간들을 시켜 적을 무찌르라 하시든가요.”

김진은 결국 혼자 줄행랑을 쳤고, 그 죄로 평민으로 강등됐다.  
소주는 고려의 뒤를 이은 신생국 조선까지도 취하게 만들었다.
임금은 종친과 신하들에게 소주를 즐겨 하사했다.

예컨대 태종은 2차 왕자의 난에서 패한 뒤
귀양을 갔던 넷째형 방간에게 소주 10 명과 안주를 하사했다.(1417)
세종은 세자의 자리를 내놓은 뒤 멋대로 살았던
 형(양녕대군)에게 향온과 소주를 내려주었다.(1433)
왕위를 동생들에게 내준 형들에게 소주 한 잔 대접한 것이다.

소주를 약으로도 썼다. 예컨대 황보인 등 대신들은
 1552년 11살의 어린 나이로 즉위한 단종에게 소주를 권했다.
부왕(문종)의 장례를 치르면서 허해지고,
기운이 약해진 것을 보충해주려 한 것이다.
 “주상께서 나이가 어리셔서 혈기가 정하지 못하니 타락(우유)를 드시옵소서.
  또 여름 달이라 천기가 지고 무더우니 소주를 조금 드소서.”
1471 년 대신 홍윤성은 “이질을 치료하기 위해 소주를 마시겠다” 고 해서
임금(성종)의 허락을 얻었다.

조선소주는 외교무대에서도 크게 사랑받았다.
예컨대 1429년(세종 11년) 명나라 사신 여창성은 중국황제에게 ‘바칠’
진헌물목을 쓰면서 ‘소주 10 병을 올리라’ 고 요청했다.
또 성종은 명나라 황제에게 홍소주와 백소주 각각 10 병씩을 특별히 보냈다.(1480년)

또 대마도 정벌 이후에는 대마도주에게 보낼 하사품 목록에서 소주는 빠지지 않았다.
1435 년(세종 17년) 대마도주 종정성이 사신을 보내 간청했다.
 “제가 농사에 실패했습니다.
 기근이 쌓여 매우 곤란한 상황입니다. 쌀과 소주를 청구합니다.” 
웃기는 일이다. 농사가 실패하고 기근에 시달린다면
 쌀만 달라고 하면 될 일인데, 무슨 소주인가.
대마도주가 얼마나 조선의 소주를 좋아했는지 기근 핑계를 대고 소주를 청한 것이다.
세종은 못이기는 척 소주 20 병을 내려주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의아한 장면들이 줄줄이 이어진다.
소주를 마시고 죽는 사례와 ,소주를 이용해서 사람을 살해하는 장면들이다.
얼마나 소주가 독했으면 그랬을까.

기록에 나온 첫번째 희생자는 다름아닌 태조 이성계의 맏아들(이방우) 였다.
 “태조 4 년(1393), 술을 좋아하는 성질 때문에 날마다 마셔댔다.
  그는 소주를 마시고 병이 나서 죽었다.”
그 뿐이 아니다. 태종 4 년(1404년) 경상도 경차관 김단은
고을 수령이 권한 소주를 과음한 뒤에 급사했다.
중중 10 년(1515) 제주 목사 성수재는
 너무 소주를 좋아해서 병을 얻어 아까운 생을 마감했다.
<중종실록>의 사관이 안타까워 한다.
“성수재는 일찍 무과에 장원급제한 자못 청렴하고 유능해서 임금이
 크게 쓰려고 했다. 하지만 소주를 너무 좋아해서….”
1526 년에는 이세렴이라는 이가 소주를 폭음하는 바람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래도 이 사람들은 술을 이기지 못하고 죽은 ‘단순사건’ 이라 치부할 수 있다.

1536 년(중종 31 년)의 일이다
오여정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황간현(충북 영동) 사람이었다
재상인 이항이 매부였기 때문에 매부의 세력을 믿고 방자한 짓을 일삼은 자였다.
그런 오여정이 그만 넘지 못할 선을 넘고 말았다.
아버지(오찬)의 첩인 돌지라는 여인과 정을 통한 것이었다.
점점 대담해지는 간통행각은 백일하에 드러나고 말았다.
아버지에게 간통사실을 들킨 남녀는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아비를 죽인 뒤 경상도 지방으로 도주한 것이다.
내연 남녀는 변복을 하고 생선을 팔며 살다가 포도관에게 검거되고 말았다.
윤리와 관련된 강상죄였기에 오여정과 돌지는 극형을 받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이 사건은 <중종실록>에 자세히 나와있다.

그런데 실록을 보면 흥미로운 내용이 나온다.
 “돌지가 남편이 죽었을 때 소주와 백화주를 사용한 것
  (用燒酒及白華酒)이 이미 그의 공초에 드러났습니다.
  일에 참여한 것은 단연코 의심할 것 없습니다.” (<중종실록>)
오여정이 철쭉을 담가 만든 백화주와 소주를 아버지에게 먹였다는 것이다.
철쭉은 그레이아노톡신이라는 독성분이 들어있어 먹으면 안된다.
독성성분이 든 백화주에다 소주를 함께 마시게 했다?
실록이 더는 설명하지 않았기에 단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소주와 백화주를 함께 사용해서 남편을 죽였다면
 혹 ‘소주 + 백화주’ 폭탄주가 아니었을까

중종 29 년(1534 년) 소주를 폭음하고 사망한 ‘남효문 사건’ 도
 당대 조선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 스캔들이었다. <중종실록>을 보자.
영산(창녕 영산면) 현감인 남효문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그래서 조카뻘되는 남순필이라는 자를 수양아들로 삼았다.
그런데 괴상야릇한 일이 생겼다.
남효문의 아내와 수양아들이 눈이 맞았다는 것이다.
남녀가 몰래 동침하며 간통한다는 소문이 퍼졌는 데도 정작 남효문만 몰랐다.
어느 날 어떤 사람이 수양아들의 언간(한글편지)을
남효문에게 잘못 건네주었다. 물론 실수였다.
편지내용을 본 남효문은 놀라 자빠졌다.
편지가 얼마나 음란하고 더러운 말로 가득 찼는지….
“기가 찬 남효문은 그 편지를 가지고 늙은 어머니와 함께 앉아 아내를 불러 추궁했습니다.
 그의 아내가 거짓말을 하지 못해 더듬거렸습니다.
 전모를 밝힌 남효문은 화를 참지 못했습니다.
 급기야 어머니와 붙잡고 통곡하다가 어머니와 함께 소주를 폭음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남효문은 죽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그 어미는 아직 생존해 있으니
 그의 말을 듣는다면 그 추한 실상을 알 수 있을 겁니다.”

물론 이 사건은 왜곡돼 있었다. 남효문의 첩이
 정처를 모함하려고 거짓편지를 꾸며 일으킨 사단이었다
하지만 남효문은 그 거짓편지를 철썩같이 믿고 
노모와 소주를 마시며 한탄한 것이다. 그러다 죽어버린 것이다.

이런 간통녀 사건도 있다.
내연의 남자와 짜고 남편에게 소주를 먹여 취하게 한 뒤
몽둥이로 때려 죽인 여인의 사연도 실록에 실려있다.
사건을 심리한 형조가 임금에게 고한다.
 “성종 22 년(1491 년) 소은금이라는 여인이 간통남 강위량과 더불어
  남편 초동에게 소주를 잔뜩 마시게 했습니다.
  남녀는 만취한 남편을 몽둥이로 때려 죽였습니다.
  소은금은 능지처사, 강위량은 참대시(겨울에 사형시키는 형벌)에 해당됩니다.”
이 때 우의정 이극배와 우찬성 어세겸 등이 고개를 갸웃거리며 변론했다.
 “남편이 단 한 그릇의 소주를 마셨을 뿐입니다.
  그런데 5~6차례 구타당하면서도 소리도 지르지 못한 게 이상합니다.
  함께 있었던 사람이 5~6 명 이라는데 몰랐다는게 이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임금이 판결을 내렸다.
 “저 계집은 남편을 죽이려고 소주를 준비해서 억지로 먹인 게 틀림없다.
  마침 한밤 중이었던데다 너무 취한 나머지 소리도 지르지 못한채 횡사했을 것이다. 
  형조의 의견대로 둘을 극형에 처하라.”

물론 지금도 과음해서 목숨을 잃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유난히 소주 때문에 목숨을 잃는 사례가 눈에 띈다.
소주가 얼마나 독했기에 그런 것일까.
원래 전통적인 소주는 안동소주와 같은 증류식 소주였다.
원래 증류를 시작하면 처음엔 알코올 도수가 80~70 % 정도인 독주가 나온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면 10 %까지 알코올 도수가 내려가게 되고
이것이 섞이면서 45 %의 소주가 되는 것이다.

일제시대 때 처음 소주를 만들 때(1924 년)의 도수는 35도였다.
그러다 증류식이 아니라 희석식 소주가 나오면서 소주의 도수는 낮아지기 시작했다.
희석식은 양조주를 여러차례 가열해 여기서 나온 
고농도의 에틸 알코올(주정)에 물과 첨가제를 넣은 방식을 사용한 방식이다.
이로써 30 도(1965 년)-25 도(1973 년)-23도(1998 년)-20 도(200 6년)를 거쳐
지금엔 15.5 도짜리 소주까지 출시됐다.
지금 소주를 마시는 사람의 기준에서는 
최소한 45 도에 이르는 조선시대 소주를 상상할 수 없을 것이다.

이렇게 독한 소주의 폐해를 설파하고 금주령을 내린 적도 많았다.
세종 15 년(1433) 에는 술을 경계하는 ‘금주령’ 의 교서를
각 지방 관아의 벽에 걸어두고 늘 금과옥조로 삼으라는 지시를 내렸다.
말하자면 ‘금주하라’ 는 플래카드를 관아 벽에 걸어놓은 것이었다

성종 22 년(1491) 임금이 의정부에 지시했다.
"소주를 매우 숭상하는 풍습이 됐다. 소주를 지나치게 마시면 사람을 상하게 하는 이치가 있다.
앞으로는 늙거나 병이 들어 약으로 복용하는 것을 빼고는 마시지 말도록 해라.”
효종도 비슷했다. 1657 년 임금은 사대부들의 못된 술버릇을 지적했다.
술꾼을 풍류를 아는 멋쟁이로 알고,
일 열심히 하는 사람을 ‘찌질이’ 로 폄훼하는 풍조를 비난한 것이다.
“지금 이른바 이름난 벼슬아치라는 자들이 저마다 음주를 마치 높은 풍류인줄 안다.
 심지어는 국사에 전념하는 사람을 도리어 잗단 무리라고 지목하며 폄훼한다.
 어찌 한심하지 않는가.”

한번은 1494 년 6 월 행호군(무관직 벼슬·재상에 해당) 경유공이
병든 첩이 요양간 집에서 집주인과 소주 한 잔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때 사헌부의 하급관리가 급습해서 술을 마시던 
경유공과 그 첩, 그리고 집주인을 긴급체포했다. 
금주령을 어겼다는 죄목이었다. 그러자 임금은 혀를 끌끌 찼다.
“아니 그래 병든 첩이 요양간 집에서 술 한잔 했기로서니, 너무 심하지 않은가.
 무관이지만 또한 재상인데 그렇게 업신여긴단 말인가.
 경유공 등을 체포한 관리를 국문하라.”
사헌부가 득달같이 항변했다.
“그 관리는 업무에 충실했을 뿐입니다.
 그랬다고 죄를 다스린다면 사기가 크게 꺾일 것입니다.”
그러나 임금은 “그래도 재상에게 너무 심했다” 고 들어주지 않았다.

‘쐬주 한 잔의 유혹’, 과연 우리는 그 유혹을 뿌리칠 수 있을까
영조 임금의 ‘딱한 변명’ 하나 들어보자.
1736 년 임금이 야대(밤중에 베푸는 경연) 를 끝내고 신하들에게 술을 내렸다.
그 때 조명겸이 임금에게 한마디 쓴소리를 던졌다.
“가만히 여론을 들어보니 성상(임금) 께서 술을 끊을 수 없다고들 합니다.
 과연 그렇습니까. 바라건대 조심하시고 염려하시며 경계하소서.”
원! 신하들의 성화 때문에 임금이 되어서도
 소주 한 잔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세상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웃기는 것은 영조의 군색한 변명이다.
“아니다. 그저 목 마를 때 간혹 오미자차를 마신다.
 아마도 남들이 그걸 소주라고 잘못 생각한 것이겠지.”
신하의 정곡을 찌르는 ‘지적질’ 에 그만 구차한 변명을 늘어놓은 것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4 온 가족이 함께면 더 좋은 '울릉도 여행' 이기승 2017.03.07 92
793 소크라테스의 부인이 악처가 된 이유 이기승 2017.03.06 557
792 한국 대표 작가들이 말했다, 여긴 꼭 가보라고 이기승 2017.03.06 145
791 老化現狀과 老人病 이기승 2017.03.05 125
790 문화부 추천 '봄맞이 전국 걷기여행길 10선' 이기승 2017.03.05 378
» 실록에 나타난 쐬주 이야기들 이기승 2017.03.04 187
788 한국관광공사 추천, '3월에 가 볼만한 곳' 이기승 2017.03.04 380
787 세상을 바꾼 방정식 이기승 2017.03.03 146
786 "놓칠 수 없는 제주의 봄"..제주관광 3월 추천 '10선' 이기승 2017.03.03 229
785 먹고 또 먹고픈 서울 만두 맛집 4 이기승 2017.03.02 279
784 '인왕제색도' 벗 삼아..겸재의 동네를 거닐다 이기승 2017.03.02 319
783 '쥐뿔' 도 모르면서 아는체 하기는… 이기승 2017.03.01 104
782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기암괴석들이 많은 서울 인왕산 이기승 2017.03.01 261
781 六正 六邪 이기승 2017.02.28 126
780 항동철길과 푸른수목원 이기승 2017.02.28 208
779 十羊九牧 이기승 2017.02.27 109
778 소중한 사람과 함께하면 좋은 수도권 여행지 이기승 2017.02.27 277
777 그러려니 하고 살자 이기승 2017.02.26 400
776 깊은 계곡 숨었던 겨울이 물안개 되어 떠나가네요 이기승 2017.02.26 361
775 철학적 살인 이기승 2017.02.25 130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76 Next
/ 76

서울사대부고 동창회

ADDR. 우)04600 서울시 중구 다산로 43(신당동 366-340)

TEL. 02-588-7871

FAX. 02-588-7872